연초에는 이것 저것 보고도 많고, 챙겨야할 것도 많죠?
그 중, 팀원들과의 목표설정에 관한 면담도 큰 부담입니다.

현실에서는 많은 팀장님들이 형식적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많구요.
오죽하면, 회사에서 "면담시간 최소 30분 이상"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팀장님들의 볼멘소리도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니지만,
1on1 미팅의 효용에 대해 잘 느끼시지 못하는 것 같아 안타까운 경우가 많습니다.
직장인들은 누구나 바쁘죠.
한 조직을 책임지는 리더라면 더 바쁠 수 밖에 없습니다.

"왜 바쁜신가요?"
팀장님들께 이런 질문을 하면, 아주 답답한 표정이 역력합니다.
구체적인 사유는 모두 다르지만, 팀의 성과를 잘 내기 위해서 바쁜건 모두 같습니다.
" 1on1 미팅은 왜 필요한가요?"
이렇게 여쭤보면, 팀원들과의 소통, 동기부여를 위해 한다고 답변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틀린 말씀은 아닙니다.
하지만, 좀 더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1on1 미팅 또한 팀의 성과를 잘 내기 위해서 진행해야 합니다.

물론, 팀원들과의 소통, 동기부여도 팀의 성과를 위해 도움이 되겠지만,
단순히 여기에 그쳐서는 안된다는 것이죠.
그래서, 1on1 미팅은 항상 분명한 목적과 전략, 후속조치가 있어야합니다.
그래야, 팀의 성과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팀장님들이 1on1 미팅을 귀찮아하고, 형식적인 숙제처럼 진행하시는 건
바로 1on1 미팅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다고 하겠습니다.
1on1 미팅에 대해서는 드리고 싶은 말씀이 너무 너무 많지만,
오늘은 간략하게 프로세스만 우선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前] 사전 준비
(1) 먼저 이번 1on1 미팅의 목적을 명확히 설정하셔야 합니다.
막연히 목표설정 면담이 아닌, 구체적인 목적을 정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대화가 산만해지거나 엉뚱한 방향으로 흐를 수 있습니다.
(2) 1on1 미팅의 아젠다를 질문으로 준비해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이런 목적과 사전 질문은 최소한 하루 전에는 공유해주시는게 좋습니다.
그렇게 되면, 팀원들도 생각을 정리하고 1on1 미팅에 임할 수 있어서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사전질문 예시
· 올해 가장 중점적으로 실행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엇인가요?
· 올해 스스로 변화하고자 하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 본인의 성장을 위해 가장 노력하고자 하는건 무엇인가요?
· 현재 업무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요?
· 팀에서 지원해주었으면 하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中] 미팅 진행
(1) 사전에 준비했던 질문을 중심으로 대화를 나누시면 되겠습니다.
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경청입니다.
중간에 끼어들고 싶어도, 꾹 참고 팀원이 주도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 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2) 구체적인 피드백을 주세요.
막연한 칭찬이나 비판보다는 가급적 구체적으로 명확하게 이야기해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앞으로의 방향성 및 기대하시는 바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이야기해주시면 좋습니다.
구체적이라고 해서, 정답을 말씀해주시는건 아닙니다.
오히려,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3) 액션플랜, 즉 향후 구체적인 계획을 설정하도록 해주세요.
팀원이 스스로 향후의 구체적인 계획을 설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그리고, 팀장님의 지원/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고,
가능한 부분은 지원을 약속해주세요.
[後] 사후 follow-up
(1) 팀원이 계획했던 부분을 잘 실행하고 있는지 점검해주세요.
계획을 설정할 때, 점검 주기나 방법 등도 함께 이야기 나누시면 좋겠죠?
(2) 잘 한 부분은 칭찬해주시고, 부족한 부분은 피드백을 해주시면 좋습니다.
그리고, 실행하다 보면 계획을 수정해야 할 부분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상황에 맞춰 필요한 부분은 그 때 그 때 수정해나가시면 되겠습니다.
끝으로 1on1 미팅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주의할 점을 몇 가지 소개하겠습니다
- 일방적인 대화 진행
: 1on1 미팅에서 대화의 70%는 팀원이 말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하지만, 대화를 진행하다보면 점점 팀장님이 주도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경우, 팀원들은 또 잔소리처럼 느낄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겠습니다.
- 단순한 근황 대화로 끝내기
: 처음 어색한 분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근황 대화로 시작하는건 좋습니다.
다만, 근황 대화는 짧게 마무리하고, 본격적인 대화에 몰입하도록 이끌어주셔야 합니다.
- 감정적인 반응 및 방어적인 태도
: 팀원이 어렵게 자신의 솔직한 이야기를 꺼냈는데,
팀장님이 감정적으로 반응하거나 지나치게 방어적인 태도로 임한다면 어떨까요?
아마 그 때부터 대화의 단절이 시작되고, 형식적인 대화만 이어질 것입니다.
이후 팀원들에게는 1on1 미팅이 아주 지루하고 피하고 싶은 시간이 될 것입니다.
정성껏 경청해주시고, 솔직하게 대화를 나눠주세요.
오늘은 1on1 미팅의 아주 대략적인 프로세스만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1on1 미팅이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어려울 수도 있지만, 팀장님들께는 너무나도 소중한 시간입니다.
성과도 없는 형식적인 1on1 미팅에 시간만 버리시겠습니까?
1on1 미팅의 기회를 잘 활용해서,
더욱 훌륭한 리더로 성장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리더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도적인 조직문화로 성과 내는 리더십의 비밀 (0) | 2025.03.31 |
---|---|
리더십도 AI로 대체 가능한가요? (feat. AI 시대, 리더의 역할) (0) | 2025.03.07 |
위험한 곳에서 일하고 싶은 사람이 있을까요? (feat. 심리적 안전감) (0) | 2025.02.27 |
자기 인식이 부족한 리더의 최후 (0) | 2025.02.06 |
리더가 처음인 당신에게 필요한 질문, 리더의 역할? (0) | 2025.02.04 |